영화 <올빼미>후기

이런 영화를 기다렸다! 티켓값 가치를 보여준 이 영화 <올빼미>

영화 ‘올빼미’, 배우 류준열

높은 티켓값으로 관객들이 부담을 느끼는 현 상황에 티켓값의 가치를 지닌 작품을 찾기란 쉽지 않다. 그나마 큰 스케일에 블록버스터급 규모를 자랑한 영화들이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지만, 모든 제작사들이 무작정 큰 예산을 들이고 이런 무모한 모험을 할 수 없는 형국이다. 이런 상황에 봤을 때 현재 극장가에 가장 적합한 영화는 적당한 제작비에 관객을 끌어모을 수 있는 참신한 소재를 지닌 가성비 작품이라 봐야겠다. 이번에 개봉을 앞둔 <올빼미>는 그 기준을 부합한 작품으로 티켓값의 가치를 제대로 보여준 의미 있는 작품으로 올해 하반기 개봉한 한국 영화의 대미를 장식할 작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화 ‘올빼미’, 배우 류준열

<올빼미>는 조선왕조 역사의 대표적인 미스터리 사건으로 언급되는 ‘소현세자의 죽음’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진행한다. 당시 실록은 소현세자를 학질(말라리아)로 죽었다고 정의했지만, 그의 모습이 마치 독살 당한 사람의 모습이었다고 기록했다. 영화는 이를 바탕으로 여러 사건과 다양한 캐릭터들을 창조하며 역사의 미스터리로 남겨진 이 사건을 러닝타임 내내 긴장감 넘치는 스릴러 영화로 완성했다.

영화 ‘올빼미’, 배우 유해진

역사적 소재 활용도를 떠나서 <올빼미>는 기본적으로 스릴러 영화팬들이 좋아할 만한 장르의 특징을 갖고 출발한다. 특수한 상황에 놓인 주인공, 그리고 사건의 진행 시점이라는 두 가지 특징이 그것이다. 류준열이 연기하는 주인공 경수는 일상에서는 맹인이지만, 불이 꺼진 어두운 저녁에만 볼 수 있는 특수한 병을 앓고 있다. 영화의 제목 그대로 ‘올빼미’와 같은 능력을 지닌 인물로, 이 증세에 대해 경수 본인은 혼자만 비밀로 간직하고 있다. 영화는 경수가 지닌 이 능력을 활용한 설정으로 이야기를 진행한다.

영화 ‘올빼미’, 배우 최무성

영화의 본격적인 사건이 펼쳐지는 주 시간대가 소현세자가 사경을 헤매는 저녁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실시간으로 진행된다. 아무도 경수가 저녁에만 앞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그 앞에서 버젓이 범죄가 일어나고 이를 알게된 경수는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를 펼치게 되지만, 예상치 못한 위협과 반전이 지속된다. 자신이 알게 된 비밀을 숨겨야 하는 경수와 비밀이 밝혀질까 두려운 ‘음모자’들의 추격과 암투가 진행되며 이야기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영화 ‘올빼미’, 배우 김성철

영화는 실록에 기록되지 않았지만, 추측과 추리로 이뤄진 소현세자 암살의 배후를 거론하는 대담한 설정을 통해 당시 정치권력의 암투와 그에 희생되는 개개인들의 모습을 부각한다. <추격자>와 같은 실시간 스릴러가 진행되는 가운데 인간의 탐욕이 만들어낸 비극적인 이면과 진실에 대한 정의가 담긴 드라마가 동시에 진행된다. 그점에서 <올빼미>는 재미와 메시지 전달에 성공한 의미 있는 작품이라 볼 수 있다.

영화 ‘올빼미’, 배우 안은진

여기에 스릴러의 기본 공식과 같은 도구, 장치 설정, 복선과 같은 요소를 치밀하게 설정해 이야기에 변화를 주는 방식 역시 영리해 신인 감독의 작품이라 보기 힘든 놀라운 완성도를 보여준다. 무엇보다 역사에 관심많은 관객들이 좋아할 역사적 소재와 장치를 잘 활용한 부분도 눈에 띈다. 소현세자와 아버지 인조의 갈등 관계, 실록을 통해 언급된 역사적 인물들의 인간성, 견제와 협력을 반복하며 긴장된 군신관계를 유지한 당시의 정치 시스템, 사실상 궁을 관리하고 있었던 궁중 인물들의 위치(내시, 내의원, 의녀, 궁녀들)를 적절하게 활용하며 그럴듯한 이야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올빼미>는 좋은 역사 창작물의 표본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영화 ‘올빼미’, 배우 조성하

그렇다고 장점만 가득한 영화는 아니다. 적절한 유머와 긴장감 넘치는 이야기가 담긴 전반부, 중반부와 달리 마지막 후반부의 이야기 진행 방식이 조금 미진한 대목이 다소 아쉽다. 그 때문에 영화의 후반부 등장하는 풍자적인 요소들이 다소 비현실적으로 느껴져 괴리감을 형성하기에 이른다. 그럼에도 <올빼미>는 앞서 언급한 전반부와 중반부의 장점이 큰편이라 후반부의 문제점을 충분히 덮어주고도 남을 여운이 담겨있다. 독특하고 신선한 소재의 장점을 잘 이끌어 왔다는 점만으로도 이 영화는 충분한 재미와 장점을 갖고있다.

영화 ‘올빼미’, 배우 류준열

특수한 캐릭터를 정겹고 무난하게 연기한 류준열은 여전히 훌륭했으며, 권력 유지에 눈먼왕 인조의 모습을 위엄과 망가진 모습을 표현한 유해진의 연기 역시 인상적인 편이다. 다만, 그 과정에서 그가 이전에 보여준 코믹적 여운이 담긴 캐릭터들이 연상돼 그의 왕 연기에 대한 관객의 반응은 호불호로 남겨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최무성, 조성하, 박명훈, 김성철, 안은진, 조윤서 등 조연 배우들 모두 무난한 연기를 선보이며 궁중에서 실시간으로 벌어지는 스릴러의 재미를 극대화 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한국 영화와 드라마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는 지금의 시기에 앞으로도 <올빼미> 같은 한국적 정서와 역사성이 담긴 좋은 작품들이 잘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올빼미>는 오늘 개봉한다.

평점:★★★☆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