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틀 포레스트> 비하인드 & 트리비아 2부

1. 아무리 맛있는 수제비여도 먹을 수 없는 류준열, 왜?

영화 ‘리틀포레스트’

극 중 혜원(김태리)이 집에 있는 밀가루를 활용해 수제비를 만들어 먹는 장면.

-보기만 해도 맛있어 보이는 장면인데, 류준열 본인은 먹고 싶어도 먹을 수 없다며 아쉬워했다.

-평소 팔체질에 따라 건강관리를 하는데, 그의 체질은 밀가루, 고기, 술을 먹을 수 없는 금음체질이라고 한다.(해산물, 밥, 야채는 허용)

2. 눈가래를 부러뜨린 김태리가 행한 순발력

영화 ‘리틀포레스트’, 배우 김태리

집에 온 혜원이 눈가래로 눈을 미는 장면.

-이때 자세히 보면 김태리가 눈가래를 너무 아래로 숙여서 미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첫 촬영 때 너무 세게 눈가래를 민 나머지 김태리가 눈가래를 부러뜨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있는 순발력을 발휘해서 마치 안 부러진 것처럼 보이려 했다.

-이때 트럭을 몰던 재하(류준열)가 씩 미소 지으며 반가워하는데, 류준열의 표정이 너무 잔망스러워서 다른 시각에서 보자면 살인마의 미소(?) 같았다고… 그래서 동료 배우들끼리 혼자 사는 여성을 위협하려는 악당의 미소라며 농담했다.

3. 남자 스태프들도 놀라게 한 김태리의 도끼질

영화 ‘리틀포레스트’, 배우 김태리

김태리는 극 중 혼자서 자급자족을 하는 혜원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줬는데, 전자에 언급한 요리, 농사 외에도 도끼로 장작을 만드는 장면까지 한 번에 소화했다. 극 중 도끼질로 장작을 마드는 장면은 대역 없이 김태리가 단 한 번에 완성한 장면으로 남자 스태프들도 놀랐던 연기 장면이었다고 했다. 그래서 주변에서 진지하게 배우 대신 장작 업계(?)로 뛰어들라는 주문이 있었다고…

4. 제작진이 파리와 모기가 나타나면 죽이지 않은 이유

영화 ‘리틀포레스트’, 배우 김태리

저번 편에서 언급한 대로 이 영화는 자연주의 힐링을 표방하는 작품이다. 그래서 고기를 먹는 장면이 안 나오는 것도 그 이유. 여기에 하나 더 추가하자면 임순례 감독이 동물을 사랑해서 ‘동물보호단체 카라’의 회원이었던 탓에 현장에 있는 조그만 동식물도 죽이지 못하게 했다.

그래서 파리와 모기가 현장에 너무 많았는데 불편하지만 죽이지도 못한 채 손으로 내쫓아야 했다고 한다. 오히려 나타나면 죽일까 봐 도망갔다고…

5. 일본 원작 영화와 한국판의 결정적 차이

영화 ‘리틀포레스트’, 배우 문소리

문화적, 요리에 대한 차이가 많았던 탓에 <리틀 포레스트>의 일본판과 한국판은 비슷하지만 다른 성향의 작품이었다.

두 영화가 완전하게 다른 설정이 있었는데, 일본 원작 만화와 영화가 요리 과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이 모든 것을 주인공 스스로 요리를 통해 만들어 낸다는 설정이었다.

반면 한국판은 주인공과 친구들, 엄마와의 관계가 부각되었고, 그녀가 만든 이 레시피들 모두 엄마로부터 받은 것들이었다.

6. 이 영화로 연기력을 인정받은 대기업, 기자, 슈퍼모델 출신의 배우 진기주

배우 진기주
배우 진기주

극 중 혜원의 친구 은숙으로 등장하는 진기주는 이 영화가 첫 영화 데뷔작이었다.

그녀는 이전에 특이한 과거 이력으로 연예계에 주목을 받은 슈퍼 신예였다. 2012년 첫 사회생활을 삼성 SDS 컨설턴트로 일했으며, 2013년 강원민방 방송 기자를, 그리고 2014년 제23회 슈퍼모델 선발대회에 출전해 모델로 데뷔하다가 2014년 드라마를 통해 첫 연기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다 첫 영화 데뷔작인 <리틀 포레스트>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그녀는 제24회 춘사영화제에서 신인 여배우상을 수상하며 최고의 주가를 올리게 되었다.

3부에서 계속…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